반응형 사회경제42 트럼프 2기 출범과 산업기술 R&D 방향성 트럼프 2기 출범과 산업기술 R&D 방향성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산업전략실 글로벌전략실, 글로벌협력T/F 공급망총괄실 기계로봇장비실, 미래자동차실 미래반도체실, 배터리디스플레이실 바이오헬스실목 차Ⅰ. 트럼프 2기 대선 주요 공약 분석Ⅱ. 트럼프 2기 對中 봉쇄 정책 전망Ⅲ. 주요 산업별 영향력 분석Ⅳ. 美·韓 산업기술 R&D 관련 향후 전망 들 어 가 며 25년 1월 20일 제47대 미국 대통령에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사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아메리카 퍼스트’.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두겠다(I will very simply put America first)”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고 있는 파리 기후협약 탈퇴, 전기차 보조금 폐지 정책은 에너지 시장과 자동차 산업에 큰 변화를.. 2025. 1. 23. 주요 세라믹소재의 국내외 개발 및 미래기술 동향 정보 주요 세라믹소재의 국내외 개발 및 미래기술 동향 정보- 세라믹소재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로드맵 및 대응 사례 - 이건훈 세라믹 PD KEIT 김형태 전무 한국세라믹연합회 신용관 수석 KEIT • 소재산업의 발전 과정에 있어 성능 향상과 생산성을 추구하기 위한 기술 고도화가 전통적인 목표였다면, 근래에 들어 지구온난화 및 여러 가지 환경 문제가 현실화됨에 따라 기술개발 및 소재의 생산·활용의 목표도 저탄소 배출과 지속가능성 등으로 변하고 있다. 전통 및 첨단 소재의 수요·공급에서도 국가 간 전략적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COVID-19 팬데믹 전후로 세라믹 소재·부품을 포함한 전 세계적인 원료·소재 공급 문제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여 관련 산업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우리나라 세라믹산업이.. 2024. 4. 24. 배터리용 소재 공급망 이슈 및 기술 비교 분석 정보 배터리용 소재 공급망 이슈 및 기술 비교 분석 이정두 이차전지 PD KEIT 김종민 책임 KATECH 이철주 수석 KEIT • 배터리 산업은 특히 전기차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힘입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국내 주력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내 배터리 및 소재업체들은 세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국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으나, 수요의 급격한 증가에 의한 원자재 수급 및 공급망 확보에 있어 향후 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 특히 배터리 원가의 큰 비율을 차지하는 양극소재의 경우 니켈, 코발트, 리튬과 같은 고가의 원료가 특정 국가들에 편중되어 있다. 원자재 1차 가공 산업도, 배터리 산업의 경쟁국인 중국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국내 배터.. 2024. 4. 24. 무금형 수치제어 유연성형기술개발 동향 정보 무금형 수치제어 유연성형기술개발 동향 이병현 뿌리 PD KEIT 배기현 수석 KITECH 김태규 수석 KEIT • 미래 제조 환경은 소품종 대량생산 체계에서 다품종 개인 맞춤형 유연생산 체계로 제조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공정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전통적인 프레스/금형 성형기술은 단순 프레스의 상하 구동을 이용한 소품종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기술로 금형 제작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소재나 형상 변화에 따른 제조 유연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 무금형 수치제어 유연성형 기술은 기존의 프레스와 금형을 이용한 대량생산 체계에서 벗어나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장비의 성형툴을 마이크로 레벨로 수치제어하여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유.. 2024. 4. 24. 이전 1 2 3 4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