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900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목차 1.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개요 2. 수소 파이프라인 현황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4. 시사점 및 정책 제안 1.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개요 ★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를 생산하고, 생산한 수소를 사용처까지 효과적으로 운송하는 방법이 중요 - 수소를 운송하는 방식은 파이프라인 운송, 튜브트레일러 운송, 액화탱크로리 운송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함(그림 1) - 파이프라인 운송은 생산지로부터 실제 사용지까지 파이프라인을 건설하여 연결하여 사용함 ★ 파이프라인 운송은 원료 산업 및 에너지 인프라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 원료 산업 운반용으로 사용하고 있음 - 원료 산업 인프라는 수소 파이프라인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석유화학 플랜트 내 또는 플랜트간 중단.. 2023. 3. 21.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 기술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 기술 목차 1. 기술 개요 2. 국내외 연구동향 3. 시사점 및 정책제언 1. 기술 개요 기술 트렌드 ★ 로봇 기술은 머신비전, 인공지능, 네트워크, 클라우드컴퓨팅 등 주변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로봇 애플리케이션과 새로운 시장으로 확산, 발전해 나가고 있음 ★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대표적인 차세대 로봇 기술 트렌드 ➊ 작업 유연성 확보를 위한 인간과 로봇간의 협력 기술 ➋ 다양한 형태의 작업물에 대한 인식/파지가 가능한 스마트 그리퍼 ➌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의 SI와 간편한 로봇 프로그래밍 ➍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로봇 및 동작 최적화 ★ 이러한 로봇 기술 트렌드에 있어서, 로봇이 핸들링 가능한 작업 대상물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인.. 2023. 3. 21.
중대형 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중대형 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목차 1. 수소전기차의 전기에너지 발생 2. 수소전기상용차의 특징 3. 중대형 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4. 맺음말 1. 수소전기차의 전기에너지 발생 수소전기차의 전기에너지 발생 원리 ★ 수소전기차는 수소와 공기 중 산소를 연료전지로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고 이를 모터로 구동하는 자동차를 의미함 ★ 수소와 산소의 반응을 좀 더 상세히 말하면 전기화학반응으로 연료전지(또는 연료전지 스택)의 수소극에서 수소의 전자를 떼어 내어 도선으로 이동시켜 다시 공기극의 산소와 반응시키는 형태임 ★ 수소차의 전기에너지 발생의 핵심기술은 수소에 전자를 뽑아내는 기술, 즉 수소를 이온화시키는 기술과 수소이온을 공기극으로 이동시키는 기술, 그리고 수소이온을 산소와 외부도선으로 이동된 전자와.. 2023. 3. 21.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동향 및 향후 추진 방향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동향 및 향후 추진 방향 목차 1. QD 디스플레이 기술 현황 2. QD 디스플레이 요소 기술 3. 결론 및 시사점 1. QD 디스플레이 기술 현황 QD 소개 ★ QD는 양자화된 에너지 특성이 관찰되는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반도체 입자임. 아래 좌측 그림에서 보듯이 bulk 반도체 물질이 nm 수준으로 크기가 줄어들면 양자화된 최외곽(Valence band) 및 전도대(Conduction band) 에너지 준위가 상온에서 관찰되기 시작함. 특히 이러한 입자의 크기가 보어(Bohr radius) 반지름과 유사한 크기로 작아지게 되면 밴드갭 에너지(Conduction band-Valence band)가 입자의 크기에 의해 좌우되는 양자구속효과가 발현되기 시작함. 예를 들어 .. 2023. 3. 20.
반응형